• 최종편집 2023-11-30(목)

문화
Home >  문화

실시간뉴스
  • [서울 종로]20232023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2023. 10. 8. ~ 2023. 10. 9.]
    조선 후기를 문화적인 황금기 시대로 이끌어 큰 부흥을 이루었던 22대 왕 정조. 가장 성대했던 왕의 행복한 행차를 재현하는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이 을묘년원행(1795년 윤 2월) 당시 실제 행차일에 한층 더 가까워진 2023년 10월에 찾아온다.    기록유산 「원행을묘정리의궤」를 기반으로 재현하는 '을묘년 화성원행' 이라고도 불리는 정조대왕 능행차는 정조대왕이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을묘년(1795년)에 윤 2월 9일부터 16일까지 총 8일간 진행 한 대규모 왕의 행행(行幸)을 말한다.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은 서울시,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가 협력하여 웅장했던 ‘을묘년 화성원행’의 원형을 현대에 화려하게 재현하는 축제이다. [행사내용] 서울 : 출궁의식, 실감영상 배다리 시도식, 나례의식, 미음다반 시민체험 등 수원행행 : 정조대왕 수원입성 환영식, 군문의식, 출궁의식, 정조맞이 화성행행 : 출궁의식, 표식기 교대의식 [참가안내] 주요배역 - 온라인 사전 접수 시작일2023. 10. 8. 종료일2023. 10. 9.   전화번호 * 서울 : 02-786-0610 * 수원 : 031-228-3389 * 화성 : 070-7525-0338 홈페이지https://kingjeongjo-parade.co.kr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행사장소 ○ 서울 창덕궁 → 광화문광장 → 노들섬 → 시흥행궁터 ○ 경기 수원3구간 : 화성행궁광장→대황교동 화성 : 대황교동→황구지천 제방도로→현충공원→안녕리표석→안녕초등학교→장조4로→정조효공원 안양구간 : 금천구청→석수체육공원→안양역→엘에스로 의왕구간 : 엘에스로→의왕기아자동차→노송지대 수원1구간 : 노송지대→수원종합운동장 수원2구간 : 수원종합운동장→장안문→여민각/행궁광장-연무대   주최서울특별시, 경기도, 수원특례시, 화성시 주관금천구, 안양시, 군포시(후원), 의왕시 이용요금무료 행사시간09:00~19:00
    • 문화
    2023-09-08
  • [전북 남원]2023남원흥부제[2023.10.07 ~ 2023.10.09]
    남원시 인월면 성산리와 아영면 성리는 <흥부전>의 발상지로 알려져있는데, 오래전부터 두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박첨지 설화와 춘보 설화에 근거하여 <흥부전>이 지어졌다고 한다.    남원시는 '흥부제'라는 이름으로 축제를 기획하여 1993년부터 매년 흥부제를 개최하고 있다. 흥부제는 흥부전에 담긴 <우애, 나눔, 보은, 행운>을 주제로 하고있으며,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축제 행사로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행사내용] 1. 기념행사 : 흥부제 및 남원시민의 날 기념식, 초대공연 2. 공연행사 : 트롯 뮤지컬 「MZ흥부전」, 남우문장, 흥부풍류마당, 판페라 예술극장, 농악경연대회 3. 연계행사 : 흥부 백일장 대회, 흥부 그림그리기 대회 4. 체험 및 나눔행사 : 흥부 박터뜨리기, 흥부 나눔 장터 운영 5. 부대행사 : 흥부네 행운샵, 흥부 스탬프투어, 놀부 판 버스킹 날짜 2023.10.07 ~ 2023.10.09 위치 전라북도 남원시 양림길 12 춘향테마파크  사랑의광장 및 야외무대 가격 무료 업체 남원시/흥부제전위원회 전화번호 063-620-6710
    • 문화
    2023-09-07
  • [경북 안동]2023도산별과대전[2023.10.07]
    도산별과란 정조임금께서 퇴계선생 사후 222년 되던 해인 1792년(정조 16)에 각신 이만수를 보내서 도산서원에서 치제하게 한 뒤에 선생을 추모하는 뜻에서 그곳에서 과거시험을 치르게 했던 역사적 사실을 말한다.   퇴계선생의 학덕과 유섭을 기리고 영남의 인재선발을 위해 실시된 영남 유일의 특별과거시험인 '도산별과'의 가치를 조명하고, 도산별과 행사를 통해 세대 간의 소통 문화를 만들고자 한다.   [행사내용] 1. 메인프로그램 : 도산별과대전 2. 부대프로그램 : 도산별과 재현행사, '나도선비' 가족체험 행사, 장원급제 행렬 3. 소비자 참여 프로그램 : 전통차 시음, 합격떡 나눔 4. 기타 내용 : 통통통 도산별과 날짜 2023.10.07 ~ 2023.10.07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길 154 도산서원   가격 무료 업체 경상북도, 안동시/안동문화원 전화번호 054-859-0825
    • 문화
    2023-09-07
  • [충남 계룡]2023계룡軍문화축제[2023.10.06 ~ 2023.10.10]
    국방수도 계룡시에서는 지난 2007년부터 매년 계룡軍문화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민과 군이 하나가 될 어울림 한마당인 2023계룡軍문화축제는 2023년 10월 6일부터 10월 10일까지 5일간 계룡대 활주로를 중심으로 계룡시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3계룡軍문화축제는 지상군 페스티벌과 공동으로 개최할 예정으로 해·공군도 함께 참여하는 대한민국의 대표 軍문화축제로 개막 축하공연, 국내·외 군악·의장 초청 공연, 로드 퍼레이드, 해·공군 전시관, 우주항공 특별전시관 및 각종 체험 부대 행사로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 가득한 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軍문화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가치를 한 단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여, 계룡시가 軍문화의 메카로 도약하는 이번 축제에 많은 참여 부탁한다. 날짜 2023.10.06 ~ 2023.10.10 위치 충청남도 계룡시 금암동  가격 무료 업체 계룡시/(재)계룡시문화관광재단 전화번호 042-840-2621~4
    • 문화
    2023-09-06
  • [제주 제주]2023탐라문화제[2023.10.06 ~ 2023.10.10]
    제주탐라문화제는 62회째로 탐라문화원형(민속, 신화, 역사, 생활사 등)을 기반으로 제주고유 콘텐츠를 브랜드화 해나가는 축제이다. 특히 1,500여명 1.7km의 거리퍼레이드는 축제의 핵심콘텐츠로서, 도민이 직접 축제에 참여하여 함께 만들어나가고 있다.    2023년에는 "제주의 할망"을 주제로서 제주의 여성신(神)을 중심으로 한 독특한 소재를 현대에 맞게 연출하여 제주 문화를 축제화하고 있다.   [행사내용] 1. 기원문화축제 - 탐라개벽신위제, 개막행사, 폐막행사 2. 민속문화축제 - 탐라퍼레이드, 민속예술축제, 무형문화축제, 민속체험, 제주어축제 3. 예술문화축제 - 탐라예술무대, 탐라예찬, 문화교류행사, 미리내 아트마켓 4. 참여문화축제 - 참여행사(먹거리 등), 청소년문화축제   날짜 2023.10.06 ~ 2023.10.10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2   가격 무료 업체 제주특별자치도, 한국예총제주도연합회/제61회탐라문화제 추진위원회 전화번호 064-753-3287 인스타 그램 tamna_festiva
    • 문화
    2023-09-06
  • [경기 안성]2023안성맞춤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2023.10.06 ~ 2023.10.09]
    안성맞춤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는 2001년부터 개최되고 있는, 국내 최고의 전통문화공연 축제이다. 우리나라 대중예술의 효시인 남사당패를 소재로, 다양한 볼거리와 감동적인 공연을 선사하여 전통문화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행사내용] 1. 메인 프로그램 - 남사당 놀이 : 풍물종합, 줄타기 2. 부대 프로그램 - 장터무대 / 반달무대 / 실내공연장 / 안성천무대 / 전야제 등 3. 소비자 참여 이벤트 - 기획 체험전 / 놀이마당 / 체험부스 운영 4. 기타(먹거리 등) - 지역 특산물 판매 / 푸드코트 / 푸드트럭 운영   2023.10.06 ~ 2023.10.09 위치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남사당로 198-2  가격 무료 업체 안성시/안성맞춤남사당 바우덕이축제위원회 전화번호 031-678-2511~5
    • 문화
    2023-09-06
  • [경기 안산]2023안산 김홍도축제[2023.10.06 ~ 2023.10.08]
    김홍도 축제는 매년 10월 안산시 화랑유원지 일원에서 개최하고 있다.   안산의 대표 인문자산인 김홍도를 테마로 한 김홍도 축제는 그의 일생과 작품을 새롭게 발견하는 다양한 축제 콘텐츠를 제공하며, 지역 예술인과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만드는 시민 주도형 축제이다. 대표프로그램으로는 "김홍도 작품속으로", "빛으로 깨어난 김홍도", "김홍도 마당극", "김홍도 마을 체험" 등이 있다.    지역 예술인들의 버스킹 공연과 김홍도의 작품을 재해석한 작품들이 화랑유원지의 가을밤을 밝히고, 지역농특산품으로 알차게 구성된 먹거리 장터, 풍류마켓 운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날짜 2023.10.06 ~ 2023.10.08 위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화랑유원지 일대 가격 무료 업체 안산시/안산시 전화번호 031-481-3511 인스타 그램 kimhongdo_festival
    • 문화
    2023-09-06
  • [충남 서산]2023서산해미읍성축제[2023.10.06 ~ 2023.10.08]
    스무살 해미가 모두의 청춘을 깨운다!   서산해미읍성축제는 개최 20회차를 맞아, 선조들의 축성기술과 천혜의 자연풍광이 빚어낸 600년 역사를 품은 고성(古城)인 서산해미읍성을 활용해 낮에는 따사로운 가을 햇살 아래 한가로이 품격있는 문화공연을 감상하며 즐기는 피크닉을 통해 쉼과 여유를 만끽하고, 밤에는 드론쇼 및 야간 테마파크 조성과 유등 전시 등 기존 축제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다채로운 신규 야간 컨텐츠를 도입하여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서산해미읍성의 전 구역을 아름다움으로 물들일 예정이다. [축제 먹거리 알리오] 축제 1주일 전 공개 예정. 날짜 2023.10.06 ~ 2023.10.08 위치 충청남도 서산시 남문2로 143 해미읍성   가격 무료(일부프로그램 유료) 업체 서산시/서산문화재단 전화번호 041-660-2697 인스타 그램 seosancf
    • 문화
    2023-09-06

실시간 문화 기사

  • [인천 강화]강화 전등사
    [추천포인트 : 은행나무&단풍]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이자 강화에서 제일 큰 절이다. 산과 함께 어우러져 계절마다 색다른 느낌을 주는데, 특히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와 단풍을 둘러보며 가볍게 등산하기에 좋다. 지하에 현대식으로 지은 법당 무설전과 서운갤러리가 있으며, 갤러리에서는 불교미술전이 상시 운영되고 있다. 최근 한국 유니크베뉴 및 웰니스 관광지로도 선정되어 주목 받고 있어 가을을 느끼며 둘러보기를 추천한다. [전등사]단군 왕검의 세 왕자가 쌓았다는 정족산 삼랑성(사적130호)내에 위치한 전등사는 창건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고려 왕실의 원찰로서 진종사(眞宗寺)라 불리워 왔다. 지금의 전등사란 명칭은 고려 충렬왕 8년(1282)에 왕비 정화궁주가 옥등잔을 부처님께 바친 데서 생겨났다고 전해진다.보물 178호인 대웅보전은 정면3칸, 측면2칸의 팔작집으로 광해군 13년(1621)에 지어진 조선 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이며 특히 내부의 불단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정치(華麗精緻)한 아름다움은 건축공예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고종 3년 병인양요시 프랑스군에 대항하여 결사호국의 각오로 전투에 임했던 장병들이 무운을 부처님께 빌기 위해 대웅보전의 기둥과 벽면에 자신들의 이름을 써놓은 흔적이 지금도 곳곳에 남아있다. 보물179호인 약사전을 비롯한 10동의 건물과, 11세기 중국 북송때 만들어진 보물393호인 범종, 유형문화재 26호인 순무천총양헌수승전비, 지방문화재인 7호인 대조루와 실록과 왕실세보(王室世譜)를 보관했던 장사각지와 선원보각지, 전설이 서려있는 나녀상,열리지 않는 은행나무, 우는나무 등 많은 고목이 있다.   보물 제 178호로 지정된 대웅전은 규모는 작지만 단정한 결구에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서 조선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가는것으로 꼽아야 하겠다. 특히, 내부의 불단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 정치한 아름다움은 건축공예의 극치를 이루는 것이며, 보마다 용틀임으로 장식되면서 용두가 네 귀퉁이에서 돌출해나오며 천장 주변으로는 연, 모란, 당초가 화려하게 양각되고 중앙 우물 반자안에는 보상화문이 가득 채워져 있다.    * 전등사 대웅전 대웅보전은 규모는 작지만 단정한 결구에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서 조선후기 건축물로서는 으뜸간다. 특히, 내부의 불단위에 꾸며진 닫 집의 화려 정치한 아름다움은 건축공예의 극치를 이루는 것이며, 보마다 용틀임으로 장식되면서 용두가 네 귀퉁이에서 돌출해 나오며 천장 주변으로는 연, 모란, 당초가 화려하게 양각되고 중앙 우물 반자안에는 보상화문이 가득 채워져 있다.    더욱 희귀한 것은 물고기를 천장에 양각해 놓아 마치 용궁인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것인데, 닫집 왼쪽 천장에는 양쪽에 용두장식을 하고 몸체에 용틀임을 한 작은 龍架의 배 부분에 아홉 개의 방울을 달아 놓고 끈을 달아 불단까지 늘여 놓아 이를 잡아 흔들면 아홉 개의 방울이 동시에 울어 구룡토음의 장관을 이루게 했던 적도 있었다.    * 전등사 대조루 전등사 대웅전에 오르는 중정 바로 앞에 있는 목조 건물이다. 대웅전을 오르는 문루의 역할을 하며 2층 문루 처마 밑에 전등사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앞면은 2층 건물로 그 풍채가 아담하나 대웅전에서 바라보면 1층 한옥이다. 1839년 승탄인이 건립하여 전등사의 정문으로 사용한 2층 누각으로 정면 5간, 측면 2간의 모조와가인데 각내에는 장사각, 선원보각, 취향당의 형판이 있다. 원래는 이층누각이었으나 퇴락되어 현재는 단층 건물로 남아 있다. 초립공집 팔작지붕으로 단청이 되어 있다.    * 전등사 명부전 시왕전이라도 불리우는 명부전은 약사전 서남편에 있다. 창건 연대는 알 수 없고, 영조 43년(1767), 헌종 5년(1839), 고종 21년(1844)에 보수했다고 한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내부에 지장보살을 모시고, 그 외에 시왕, 귀왕, 판관, 장군, 동자 등 29상이 모셔져 있다.    * 전등사 목불삼존불상 조선 광해군 15년(1623)에 조성된 불상으로 원만한 상호와 양감·균형감·조각 솜씨가 뛰어난 목조불상이다. 삼존불은 삼세불이라고도 하며,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세 명의 부처님을 말하는데 현세불인 석가여래·약사여래·아미타여래를 모시기도 하고 과거·현재·미래불을 함께 모셔 삼존불이라고도 한다. 전등사 대웅보전에 보관되어 있다. 주불인 석가모니불의 높이는 125cm이고 무릎폭은 88cm로 원만한 얼굴에 유난히 큰 귀를 하고, 당당한 어깨와 가슴,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한 채 결과부좌하고 있다. 신체는 우견편단의 법의를 걸치고, 가슴께에는 군의를 묶은 자락 위에 3개의 꽃잎 모양이 있다.    * 전등사 약사전 대웅보전 서쪽에 위치하는 건물로 대웅보전과 거의 같은 양식의 건물이다. 건물의 겉모습이나 내부 장식도 대웅보전과 비슷하다. 법당 안의 불상은 역시 약사여래 좌상인데 약간 딱딱하지만 아담하고 그런대로 잘 조화된 모습이다. 불상양식으로 보아 고려 말기에 속하는 석불로 볼 수 있다. 이 전각은 건축 양식은 조선 중기의 다포식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달작집이다.    장대석 쌓기를 한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두리 기둥에는 약한 배흘림이 있다. 공포는 외 1출목 내 2출목으로 초제공과 이제공에 높이는 살미첨자의 끝은 모두 앙서로 되어있고 안쪽은 가둥위의 높이는 공포에서는 관형으로 되어 초각을 하였으나 기둥 사이의 공포에서는 교두형을 취하고 있다. 이 전각의 특징은 다포식 건축이면서도 창방위에 평방이 놓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내부 천장은 중앙 부분에 우물 천장을 두고 주위에는 빗천장을 만들었으며, 거기에 돌아 가면서 화려한 연화당초문을 그려 놓았다.    * 전등사 향로전 향로전은 대웅전의 오른쪽에 있는 건물로 노전스님이 지내시는 곳이다. 정면 3간, 측면 2간의 8작 지붕으로 불공용 제물의 저장고였으며 병인양요때 에는 중군의 거처였다고 전한다. 전등사는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삼랑성 안에 위치하며, 고구려 소수림왕 11년(서기 381)에 고승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축조하였다고 전하여 온다. 창건 당시에는 진종사(眞宗寺)라 불리었다.    * 전등사 범종 보물 제 393호로 지정된 범종은 전형적인 우리나라 종과는 그 형태가 판이함을 금방 알 수 있다. 완전히 중국의 종으로서 전체 높이가 163cm이며 밑 지름이 1m로 종루는 쌍용이 움크리고 있고 음통이 없으며 종 몸에 상ㆍ중ㆍ하로 구획이 지어져 띠가 둘려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범종은 중국 북송의 철종 소송 사년(1097,고려 숙종2년)에 회주 수무현 백암산 숭명사에서 주조된 철제 종이다.    일제가 세계제2차대전시 약탈하여 부평 병기창에 놓아 두었던 것을 광복후 독실한 불교신자에 의해 다시 전등사에 보관되어 현재에 이른 종이다. 종의 형태는 정상에 쌍룡을 갖추고 용두 주변에는 16개의 연꽃잎을 둘렸는데 종의 몸체에는 위쪽에 8잎을 돌리고 그 밑으로 여러개의 옆띠로 위·아래를 구분한 다음 종선으로 위·아래 각 8개의 네모 구획을 마련 하였다. 이 네모 구획과 구획 사이의 길쭉한 공간에는 명문을 양각하였다.    종구는 중국 종에서 보이는 물결 모양을 이룬 듯한 8모로 되어있고 그것을 따라 소문의 구연대를 돌렸다. 전체적인 형태는 개성 연복사 동종과 유사하나 우리나라에서 중국의 철제 종이 보물로 지정된 유일한 종으로 중국제 철종 연구에 귀중한 자료다. 특히 명문중에는 이 종을 주조할때의 시주인, 동역인, 장인 등의 성명이 양각되어 있고, 종구 하란 가까이에는 "대송회주"라는 27자가 있다. * 정족산 가궐지 고려 고종46(1259) 풍수도참가 백승헌의 진언에 의해 고종이 건립했던 가궐터이다.    당시 백승헌이 낭장으로 있을때 고종이 적당한 도읍지를 문의하자 삼랑성및 신니동에 가궐을 짓도록 했고, 원종5년(1264) 몽고가 왕의 친조를 요구 했을 때 가궐을 짓고 마니산 첨성대에 제사를 하면 친조 문제가 해결되고 주위의 대국들이 와서 조공할 것 이라고 진언하였다 한다. 건물은 몽골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으며 당시 이 가궐에는 왕이 거처하지 않을 때에도 평상시 처럼 금침을 깔고 의복을 놓아두었다고 한다.    * 정족산 사고 임진왜란 전에 실록을 보관하였던 사고는 내사고인 춘추관과 충주, 성주, 전주등 3개의 외사고가 있었으나, 임진왜란때 전주사고만이 화를 면하고 모두 소실되었다. 그 후 임란의 병화를 피한 전주사고본이 한양에서 가까운 강화로 옮겨져 선조 39년(1606) 4월 복인 작업을 완료하고 전주사고본인 원본은 마니산 사고에 나머지 4부는 춘추관, 태백산, 묘향산, 오대산사고에 봉안되었다.    마니산 사고는 병자호란의 피해와 효종 4년(1653) 11월 사각의 실화사건으로 삼랑성내 정족산 사고가 건립되어 이안 봉안되어 왔으나, 1910년 일제에 의해 국토가 강점되면서 정족산사고본은 태백산사 고의 실록 및 규장각의 도서와 함게 조선 총독부 학무과 분실에 이장되었다가 1930년 경성제국대학으로 옮겨진 후 광복과 함께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되어 오고 있다. 정족산 사고는 1930년 전후에 파손되어 빈터에 주춧돌만 남아있던 것을 1999년 강화 문화 사업으로 복원, 정비하였다.    * 전등사 강설당 전등사의 설법당이나 삼랑성이 정족산성으로 불릴 때 병영지로 확인되고 있다. 1866년 병인양요때는 이곳에서 강계포수 800명이 취사하던 곳이었으며, 이곳에는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관음, 대세지보살을 비롯한 12보살과 사천왕, 10대 제자를 그린 영산회상도(가로 240cm×세로 150cm)가 있다.   문의 및 안내종무소 032-937-0125 홈페이지전등사 http://www.jeondeungsa.org 주소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이용시간 하절기 매일 08:00 - 18:30동절기 매일 08:30 - 18:00 휴일연중무휴 주차있음 화장실장애인 화장실 있음_무장애 편의시설
    • 문화
    2020-10-03
  • [서울 도봉]원당샘공원
    600년 전부터 마을의 생활용수로 공급되던 원당샘을 복구하여 조성한 공원으로 연산군묘, 방학동 은행나무와 함께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지는 도봉구 문화명소   문의 및 안내도봉구 공원녹지과 02-2091-3772 홈페이지http://tour.dobong.go.kr/Contents.asp?code=10003486 주소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32가길 16
    • 문화
    2020-10-02
  • [서울 노원]수락산 학림사
      노원구 수락산에 위치한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로 가을 단풍이 아름다운 노원9경(九景)중 한 곳멀리서 바라보는 수락산은 드물게 암벽이 우뚝 솟아 봉우리를 이루고 있고, 그 아래로는 울창한 숲이 바다를 이루며 펼쳐져 있다. 이 나무의 바다 속에는 수많은 생명들이 삶을 영위해 가고 있으며, 또한, 크고 작은 많은 사찰들도 자리하여 자연과 더불어 법등을 이어가고 있다. 남쪽 산록에 자리한 학림사는 주변지세가 마치 엄마가 자식을 품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그래서 절 이름도 학이 알을 품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해서 학림사라 하였다. 경내에는 가지가 늘어지다 못해 처진 듯한 노송(老松)이 당당하게 서 있어 오랜 역사를 말해주는 듯하다.   이러한 학림사는 서울 근교에 자리한 많은 사찰 가운데 그 역사만큼이나 기도도량으로 명성이 높다. 오백나한전에 가득하신 나한님들의 위신력과 약사전의 약사여래의 가피력은 지성으로 기도를 한 사람들에게 반드시 감응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림사는 천혜의 자연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 참배는 물론 가족이 함께 산행까지 겸할 수 있는 웰빙 사찰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울창한 숲을 걸으며 삼림욕을 즐기고, 산사에 들러 시원한 감로수 한 모금이면 속세에 찌든 온갖 티끌이 씻겨 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산록에 자리한 학림사가 기도와 웰빙의 도량 역할을 하고 있다면, 노원역 부근에 자리한 학림불교회관은 포교와 교육의 도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법회와 경전강의, 문화강좌 등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유치원과 노인대학을 통하여 복지활동도 펼쳐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림사는 명실공히 기도와 수행, 포교와 교육의 도량을 함께 갖춘 사찰로서 역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문의 및 안내학림사 02-916-1700 홈페이지https://www.nowon.kr/www/info/info1/info1_06/info1_06_02.jsp 학림사 http://hakrimsa.or.kr/ 주소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129가길 241
    • 문화
    2020-10-02
  • [서울 금천]호암산성
    관악산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성곽으로 한우물, 석구상 등 문화재 및 관악산 둘레길 코스중 하나인 전통사찰 호압사와 연계 관광 가능하다.호암산성은 산마루를 둘러 쌓은 통일신라시대의 테뫼식 산성으로 둘레는 1,250m이며, 그 중 약 300m 구간에 성의 흔적이 남아있다. 한우물은 호암산 정상에 있는 길이 22m, 폭12m의 연못으로 네 주변을 화강암으로 쌓았으며, 용보(龍洑)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가뭄 때에는 기우제를 지내고 전시(戰時)에는 군용에 대비하였다 한다.    이 연못 모양의 우물이 만들어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보수를 위한 발굴 당시 확인된 바로는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연못이 현재의 연못 밑에 묻혀 있었으며, 그 위에 어긋나게 축석한 연못이 다시 조선 초기에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한우물의 조선시대 석축지는 동서 22m, 남북 12m, 깊이 1.2m의 규모로 그 아래의 통일신라의 석출지도 확인되었다.    다른 우물지에서는 ‘잉벌내력지내미(仍伐內力只內未)’라는 글이 있는 청동숟가락이 나왔다. 우물지 근처에서 개 모양의 동물상(석수상, 길이 1.7m, 폭 0.9m, 높이 1.0m)이 발견되었는데, 이 것은 조선시대 서울에 화재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세웠다는 설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우물 근처에서 석구지(石拘池)라고 새겨진 돌이 발견되었는데, 아마도 이 연못이 석수상과 관련되어 석구지라고 불려진 것이라고 보여진다.   문의 및 안내금천구청 문화체육과 02-2627-1453 홈페이지https://www.geumcheon.go.kr/portal/contents.do?key=954 주소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이용시간상시운영 지정현황[서울 호암산성] 사적 제343호(1991.02.26 지정)
    • 문화
    2020-10-02
  • [서울 강북]초대길
    초대 검사 이준, 초대 국회부의장 신익희, 초대 대법원장 김병로, 초대 부통령 이시영 선생 등 대한민국 근현대사 초대 직위를 역임하신 분들의 묘역 길이다.   문의 및 안내강북구 문화관광체육과 / 02-901-6216 홈페이지https://korean.visitseoul.net/attractions/초대길_/27112 주소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114
    • 문화
    2020-10-02
  • [부산 수영]수영사적공원
    수영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곳으로 경관이 빼어나다. 뒤로는 산세가 수려한 금련산이 있고 앞으로는 광안리해수욕장이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해의 명승지이다.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어 군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지역이었다. 수영이란 지명도 수군절도사영의 준말이었는데 현재의 지명으로 굳어졌다.    수영공원은 조선시대 남해안의 4군영을 관할했던 수군총괄 군영인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자리로서 현재는 성은 없고 성지 관련 유적만 수영공원에 남아 있다. 이 공원 안에는 25의 용단을 비롯한 사당 및 충혼탑 유형문화재 3종과 수영 야류 등 무형문화재 3종, 수영동 곰솔, 푸조나무 등 천연기념물 2종, 안용복장군 충혼탑 등 비지정문화재 5종이 있으며 이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수영민속예술관이 있다.    특히 왜인들에게 독도가 우리 땅임을 확약 받아온 안용복장군 충혼사당 및 충혼탑을 비롯하여 송씨할매당, 할배당 등 수영 사람들의 혼이 담겨있는 역사와 교육의 장으로 부산의 해양민속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 문화유적 공원이다. 역사적 상징성을 가진 유적공원이지만 시민들의 가벼운 산책공간으로 더 친근하다. 나무가 우거진 시원한 오솔길은 도심 속 힐링 장소로 손색이 없는 곳이다.   문의 및 안내051-610-4372 홈페이지https://www.visitbusan.net/kr/index.do?menuCd=DOM_000000201001001000&uc_seq=301&lang_cd=ko 주소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 이용시간상시 주차있음(공영주차장) 입 장 료무료   주차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있음(입구 주차장 2대)_무장애 편의시설 접근로사적건물앞에는 계단이 있어 실내까지는 접근 불가하나 공원은 무단차구간 있음 화장실장애인 전용 화장실 있음(공원 내 공중화장실)  
    • 문화
    2020-10-02
  • [대전 유성]순국선열을 기리는 곳 . 국립 대전 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 1558번지(구 갑동)에 위치했으며, 부지 면적은 322만 2001㎡, 안장 능력은 6만 3250기이다. 한국의 전통미와 현대감각의 조화, 자연경관의 최대 보존, 기존 국립묘지의 미비점 보완, 전 묘역의 호국공원화를 기본 방향으로 잡아 조성하였다.이곳은 조국수호와 국가번영을 위해 고귀한 생명을 나라에 바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이 고이 잠들어 계시는 민족의 성지로서, 1979년에 착공하여 1985년에 완공하였다.    100만평에 달하는 넓은 부지 위에 묘역은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장병, 경찰관 및 일반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주요 시설물로는 참배를 드리는 현충탑과 현충문이 있고, 영결식과 호국영화 상영을 위한 현충관, 각종 호국사진과 유품을 전시한 호국관 그리고 군 전투장비를 전시한 야외전시장이 있다. 그 밖에 호국분수탑, 홍살문, 천마웅비상, 23개의 호국경구비 등 조형물이 있으며, 한반도 지도모양을 본 떠 만든 자연석 인공연못인 현충지, 정자 그리고 각 묘역 주변에 잘 가꾸어진 휴게시설 등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잘 가꾸어져 있다. 또한 보훈 둘레길도 있어 많은 분들이 사색을 하거나 둘레길을 따라 도보여행도 할 수 있는 시민들의 휴식처로도 이용되고 있는 곳이다.보훈둘레길은 현충원 주위를 둘러싼 트레킹길로 산책하기 좋고 총 7가지의 코스를 즐길 수 있어 언택트 여행을 원하는 분들께는 안성맞춤입니다. 둘레길을 걸으면서 호국철도기념관, 소나무숲, 대나무숲, 전망대 등 다양한 볼거리도 즐길 수 있다.* 국립대전현충원 조성 이유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銅雀洞)에 있는 국립현충원의 안장 능력이 한계에 이름에 따라, 1979년 4월 1일 착공해 같은 해 8월 29일 국립묘지관리소 대전분소로 출범하였다. 1985년 국립묘지를 준공한 뒤, 1991년 국립묘지대전관리소 승격을 거쳐 1996년 6월 1일 지금의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문의 및 안내042-718-7114 홈페이지http://www.dnc.go.kr 주소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   이용시간 하절기(3~10월) 06:00~18:00 동절기(11~2월) 07:00~18:00 주차정문 앞 주차장과 경내 유휴공간에 주차가능 (약 1,000여대) 입 장 료무료   점자블록점자블록 있음안내요원안내요원 있음 영유아가족 기타상세보훈가족 등을 위한 쉼터와 야생화공원 등이 있음 주차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있음(14개)_무장애 편의시설 접근로주출입구 무단차 현충관· 봉안관 등 시설내 출입문은 자동 또는 여닫이(쌍문)로 편리함 건물 복도가 1.8m 이상으로 휠체어 사용자 왕래가 편리함   화장실장애인 화장실 있음 대중교통지하철 접근 가능함 저상버스 접근 가능함 휠체어휠체어 대여 가능함  
    • 문화
    2020-10-02
  • [대전 동구]우암사적공원
    우암사적공원은 조선 후기 대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이 학문을 닦던 곳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1만 6천여 평에 장판각, 유물관, 서원 등의 건물을 재현해 1998년 4월 17일 사적공원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이곳은 선생이 말년에 제자를 가르치고 학문에 정진하던 남간정사, 건축미가 뛰어난 기국정, 송시열 문집인 송자대전판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재가 보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공원 곳곳이 잘 단장되어 있어 도심 속 시민들의 쉼터로도 제격이다.    사적공원 안으로 들어서면 맨 먼저 왼쪽으로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어 있는 남간정사와 기국정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 남간정사를 살펴보고 나와 좀 더 위쪽으로 올라가면 우암선생의 유물과 일생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관이 있고, 유물관 앞 홍살문 사이로 멀리 명정문(明正門)이 보인다. 조선시대 서원의 형태를 재현해 놓은 곳이다.서원 안으로 들어서면 우측에는 모든 괴로움을 참아야 한다는 뜻의 인함각(忍含閣), 좌측에는 모든 일을 명확하게 하고 마음을 맑게 하라는 뜻을 담은 명숙각(明淑閣), 정면에는 마음을 곧게 쓰라는 뜻의 강당인 이직당(以直堂)이 자리를 하고 있다. 그 뒤로 매사 심사숙고하여 결정하라는 뜻의 심결재(審決齋)와 선현의 가르침을 굳게 지키라는 견뢰재(堅牢齋)가 있으며, 가장 높은 곳에 새로 옮겨 지은 남간사가 자리잡고 있다.    다시 명정문을 나와 우측으로 돌아가면 연못과 덕포루(德布樓)가 한 폭의 그림같이 펼쳐진다. 덕포루와 더불어 고즈넉한 연못이 운치를 한층 더한다.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근사한 풍광에 다시 한번 마음의 경계가 풀린다. 한편 사적공원 내에는 봄, 가을 우암 선생의 제향 봉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선 후기 이 땅에 유교사상을 꽃피운 우암 송시열 선생의 뜻을 기리고 보존하기 위해 조성된 우암사적공원. 대학자 우암의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문의 및 안내042-673-9286 홈페이지https://www.donggu.go.kr 주소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   이용시간하절기(3~10월) 05:00~21:00 / 동절기(11~2월) 06:00~20:00 휴일연중무휴 주차있음 입 장 료무료 출입통로출입구 경사로는 되어있지만 휠체어 이동하기에 불편할 수 있음 주차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있음_무장애 편의시설 화장실장애인 전용 화장실 있음  
    • 문화
    2020-10-02
  • [광주 광산]호남정신문화의 산실 . 월봉서원
    월봉서원 (月峯書院)은 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기대승(奇大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광산군 비아면 산월리에 망천사(望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46년(인조 24)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고, 1654년(효종 5)에 ‘월봉(月峯)’이라고 사액되었다. 1671년에 송시열(宋時烈) 등의 건의로 인근의 덕산사(德山祠)에 모셔져 있던 박상(朴祥)과 박순(朴淳)을 이향(移享)하였으며, 1673년에 김장생(金長生)과 김집(金集)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훼철되었다. 그 뒤 전라남도유림에 의하여 1938년 5칸의 빙월당(氷月堂)이 건립되었으며, 1972년에 4칸의 고직사(庫直舍), 1978년에 외삼문(外三門)과 3칸의 장판각(藏板閣), 1980년에 사우(祠宇), 1981년에 내삼문이 건립되었다. 빙월당은 광주광역시기념물 제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장판각에는『고봉집(高峯集)』 목판 474판이 보관되어 있다.고대 기대승의 학덕을 기리고 추모하는 곳으로 춘∙추향제가 매년 개최된다. 한때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손되었다가 1938년 빙월당을 시작으로 1987년까지 사당과 외삼문, 장판각, 내삼문이 건축되었다. 수십년에 걸쳐 하나하나 구축한 점이 특징적이다. 월봉서원에서는 놀이와 예술로 철학을 배우고 조선 선비의 하루를 체험하는 등 다양한 교육 문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문의 및 안내062-960-8253 홈페이지http://tour.gwangju.go.kr 주소광주광역시 광산구 광곡길 133   지정현황 [빙월당]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9호(1979.08.03 지정) [고봉문집목판]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제 제19호(1992.03.16 지정)
    • 문화
    2020-10-02
  • [광주 북구]원효사
    * 원효대사가 지은 사찰, 원효사 *무등산 원효계곡의 웅장한 산세 속에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누각을 가지고 있는 전통사찰이다. 신라 때 원효대사가 산의 수려함을 사랑하여 이곳에 암자를 세우고 지냈다하여 원효암이라 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원효봉 한 기슭에 있는 원효사 동부도는(지방유형문화재 제7호) 현존하는 부도 중 조각기법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사면에 동물모양의 해학적 모습이 특이하다.절 바로 앞에 높고 긴 계단이 있고 양옆으로 하늘을 뒤덮은 우거진 대숲 때문에 절을 향해 나 있는 통로가 마치 하늘을 오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1980년 5월 대웅전 신축 작업 중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팀에 의해 발굴된 청동, 청동불 입상, 동경(구리거울),각종 소조불 등 백여 점의 유물은 통일신라 말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것들로서 원효사의 오랜 역사를 말해준다.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무등산에 있는 다양한 사찰 *무등산에는 증심사(證心寺)와 원효사, 천문사(天門寺)·미력사(彌力寺)·동국사(東國寺)·보덕사(普德寺)·백운암(白雲庵)·약사암(藥師庵) 등의 사찰이 있어 등반의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증심사는 통일신라시대 철감국사(哲鑑國師) 도윤(道允)이 창건한 절로서, 이곳에는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坐像:보물 131), 5층 석탑·오백나한전(五百羅漢殿) 등이 있으며, 증심사의 말사인 약사암에는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보물 600)이 있다. 원효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한 절인데, 증심사와 함께 한국전쟁 당시 때 공비 토벌작전으로 소실되었다가, 근년에 복구되었다.   문의 및 안내062-266-0326 홈페이지http://tour.gwangju.go.kr 주소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14-35   이용시간일출~일몰 휴일연중무휴 주차있음 접근로경사로 설치 있음 화장실장애인용화장실 있음_무장애 편의시설
    • 문화
    2020-10-02
  • [경북 예천]초간정
    예천읍에서 928번 지방도로를 이용해, 용문면에 도착해서 용문사로 가는 길에 왼쪽으로 초간정의 입구가 보인다. 수령이 꽤 오래되어 보이는 수림 사이로 거대한 암반 위에 조선시대의 정자 초간정이 그 모습을 드러내고, 정자 아래 에는 계곡물이 흐르고 있다. 초간정 정면에 서서 정자를 바라보고 있으면, 선인들의 멋스러움과 자연친화적인 삶의 지혜를 느낄 수 있으며, ‘누가 여기에 정자를 지을 생각을 했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그 인물이 궁금해진다.    초간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대동운부군옥>을 저술한 초간 권문해 선생이 1582년(선조 15)에 지은 정자로, 그 후손이 중창하였으며 현재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43호로 지정되어 있다. 초간정에서 예천읍 방향으로 내려가면 예천 권씨 종택을 만날 수 있고 반대로 동로 방면으로 올라가면 용문사에 도착 한다.정자는 용문면 원류마을 앞 굽이쳐 흐르는 계류 옆 암반 위에 막돌로 기단을 쌓고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에 사각기둥을 세우고 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집이다. 내부에는 왼쪽 2칸에 온돌방을 만들어 사방으로 문을 달고, 그 외의 부분에는 대청마루를 깔고 사방에 계자난간을 둘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정자의 현판을 잃고 근심하던 종손이 오색영롱한 무지개가 떠오른 정자 앞 늪을 파보았더니 거기서 현판이 나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문의 및 안내054-650-6905 홈페이지http://tour.gb.go.kr/ 주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경천로 874   지정현황 [예천 초간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5호(2013.04.08 지정) [예천 초간정 원림] 명승 제51호(2008.12.26 지정)
    • 문화
    2020-10-02
  • [강원 인제]백담사
    백담사는 내설악에 있는 대표적인 절로 가야동 계곡과 구곡담을 흘러온 맑은 물이 합쳐지는 백담계곡 위에 있어 내설악을 오르는 길잡이가 되고있다. 신라제28대 진덕여왕 원년(647년)에 자장율사가 세웠는데 처음은 한계사라 불렸으나 그 후, 대청봉에서 절까지 웅덩이가 백개 있어 백담사라 이름 붙였다.    십여차례 소실되었다가 6. 25동란 이후 1957년에 재건되어 현재에 이르는 등 역사적 곡절이 많은 절이다. 자장율사의 유물소동일좌와 인조 때 설정대사에게 하양한 칠층소형옥탑 등이 있으며, 암자로는 영시암, 오세암, 봉정암이 있다.    그 밖에 백담사는 만해 한용운(1879∼1944)이 머리를 깍고 수도한 곳으로 유명하다. 만해 스님은 민족와 국민을 위해 그곳에서 민족의 얼을 되살리는 산고의 고통을 겪으면서 집필을 하였다면, 전두환 전대통령 부부는 이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참회를 하였다 한다. 백담사 앞 계곡 한쪽으로는 무수한 돌탑이 있는데, 백담사를 다년간 사람들이 소원을 빌며 쌓은 것이다.   문의 및 안내033-462-6969 홈페이지http://www.baekdamsa.org/, http://baekdamsa.templestay.com 주소강원도 인제군 북면 백담로 746 이용시간연중무휴 휴일연중무휴 입 장 료무료 (버스 탑승 시 2,500원)
    • 문화
    2020-10-01
  • [서울 강서]서울의 유일한 향교 . 양천향교
    양천향교는 서울에 유일하게 남은 향교로, 서울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다. 조선조 태종 12년(1411)에 창건돼 노후된 것을 지난 81년에 전면 복원했다.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을 비롯, 명륜당(明倫堂), 전사청(典祀廳), 동재(東齋), 서재(西齋), 내삼문(內三門), 외삼문(外三門)과 부속건물 등 8동이 있다.    현재 양천향교에서는 봄과 가을 2회에 걸쳐 석전(釋奠)을 봉행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역주민과 초,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문과 서예 및 사군자 등을 가르치는 등 청소년의 인성교육 및 옛 전통문화 재현에 노력하고 있다.    주변의 겸재정선미술관, 궁산땅굴역사전시관 등과 연계 가능하며 서울도보해설관광 양천로 겸재정선 코스에 포함되어 있다.   문의 및 안내02-2659-0076 홈페이지https://hyanggyo.net/ 주소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47나길 53   이용시간10:00~16:00 휴일매주 월요일 주차주차 가능(주차장이 협소함으로 대중교통 이용바람) 지정현황[양천향교터]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8호(1990.06.18 지정)
    • 문화
    2020-09-14
비밀번호 :
google.com, pub-4600274970377611, DIRECT, f08c47fec0942f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