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8-30(수)

문화
Home >  문화

실시간뉴스
  • [서울 송파[2023한성백제문화제[2023.09.22 ~ 2023.09.24]
    백제한성시대부터 88서울올림픽 개최,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송파구의 위대한 문화유산을 토대로 축제를 구현함으로써 구민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세계적인 축제로 도약   [행사내용] 개막식, 먹거리 장터, 체험마을, 빛축제, 폐막식 등   2023.09.22 ~ 2023.09.24 위치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26 송파구청   가격 무료 업체 송파구청 문화체육과/송파구청 문화체육과 전화번호 02-2147-2800
    • 문화
    2023-08-22
  • [인천 부평]2023부평풍물대축제[2023.09.22 ~ 2023.09.24]
    부평풍물대축제는 풍물과 지역의 문화관광콘텐츠(세계최대의 지하상가-기네스 등재, 재즈의 발상지 부평음악도시, 미군부대 등)를 결합하여 우수한 공연문화와 풍성한 볼거리를 선보인다.   도심 속 8차선 대로가 축제의 장으로 펼쳐지는 유일무이한 대표 거리축제로써, 시민이 직접 참여하여 만들어 가는 시민축제, 풍물난장, 거리공연과 더불어 볼거리가 풍성하고 체험과 재미가 가미된 교육 효과가 있는 다양한 체험행사를 만나볼 수 있다.   [행사내용] 1. 메인 프로그램 - 개/폐막식 공식행사, 기원제, 전통풍물공연, 부평만만세(퍼레이드) 2. 부대 프로그램 - 인증공연, 창작연희 우수공연 초청프로그램, 청년DJ파티, 예술놀이터, 전국국악경연대회 3. 체험 프로그램 - 전통문화체험 및 민속놀이체험 등   2023.09.22 ~ 2023.09.24 위치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166 원평빌딩   가격 무료 업체 인천광역시부평구/부평구축제위원회, 부평구문화재단, 부평문화원 전화번호 032-509-7516
    • 문화
    2023-08-22
  • [충북 충주]2023충주 문화재 야행[2023.09.22 ~ 2023.09.23]
    2023 충주 문화재 야행은 9월 22(금)~23(토) 이틀간 개최되며, 충주 중앙탑 사적공원 일원에서 펼쳐진다.    또한 「2023 충주 문화재 야행」은 '중원의 슬픔'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탑평리7층석탑(중앙탑)을 중심 거점으로 하여 충주 시민 및 방문객 들에게 중원 문화를 알리고, 중원의 아픈 역사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을 통해 충주의 역사문화를 쉽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주 지역을 대표하는 유․무형 문화재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주최 주관은 (재)충주중원문화재단, 충주시, 문화재청이다.   [행사내용] 1. 야경 - 중원의 눈물을 담아(소원등) - 중원 문화의 빛(고구려비, 중앙탑) - 탑평리 마을 재현(일제강점기 탑평리 마을) 2. 야로 - 문화재 스탬프 랠리 - 역사 이야기길(중원의 빛) - 조성, 야간 무지개길 걷기 3. 야사 - 달려라 충주씨 - 이야기 꾼이 들려주는 중앙탑 이야기 - 충주박물관/ 고구려비 전시관 야간 개방 - 중원의 별(고구려천문학관-고구려 별자리 관람) - 충주 무형 문화재와의 만남(야장, 사기장) 4. 야화 - 중원 문화재 사진 및 그림 전시 5. 야설 - 문화재 시대극(중원지애) - 문화재 버스킹(지역예술단체의 공연) - 옛 택견판 재현 - 야행 퍼레이드 6. 야식 - 사라진 장터 재현(목계장) 7. 야시 - 조선시대 장터 재현(내창장) - 플리마켓 날짜 2023.09.22 ~ 2023.09.23 위치 충청북도 충주시 탑정안길 6  중앙탑 사적공원 일원 가격 유/무료 업체 충주중원문화재단/문화재청, 충주시 전화번호 043-723-1391,1350 인스타 그램 cjcf_official
    • 문화
    2023-08-22
  • [강원 평창]2023평창농악축제[2023.09.15 ~ 2023.09.18]
    농악축제는 지역의 민속예술 공연과 전국의 유명 민속예술공연을 통하여 관광객으로 하여금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는 축제이다. 또한 민속체험을 통해 평상시 경험하지 못했던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다.   [행사내용] 1. 메인프로그램 : 전국 농악 초청공연, 관내 농악 초청공연, 민속보존회 거리 퍼레이드 등 2. 부대프로그램 : 퓨전 국악 공연, 난타 및 악기 연주 공연 등 3. 소비자 참여 프로그램 : 전통혼례 체험, 막국수 누르기, 올챙이 국수 만들기 체험, 민속놀이 체험, 나무 공방 체험, 감자캐기 체험 등 4. 기타 내용 : 7080라이브 공연 등. 날짜 2023.09.15 ~ 2023.09.18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갈정지길 7   가격 무료(체험료 별도) 업체 평창군/평창농악축제위원회 전화번호 033-332-4333(평창농악축제위원회 사무실)
    • 문화
    2023-08-15
  • [전북 익산]2023익산 서동축제[2023.09.15 ~ 2023.09.17]
    익산은 서동설화와 서동요가 살아있는 천년고도 백제왕도(王都)로 서동요를 통해 선화공주의 사랑을 얻고 마침내 백제 30대무왕으로 등극해서 삼국통일의 웅지를 펼치려 했던 서동의 탄생지이다.   익산서동축제는 1400년 전 익산에서 태어난 백제의 서동(무왕)과 적국이었던 신라 선화공주와의 국경을 초월한 사랑을 이야기한 역사문화축제로서 1969년 마한민속제전에서 출발하였으며 2004년 익산서동축제로 축제명이 변경되어 매년 개최되고 있다.   [행사내용] 서동요전설,백제무사체험,수상실경공연,서동요플래시몹,몽연: 서동의 꽃 날짜 2023.09.15 ~ 2023.09.17 위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고도9길 41-14  가격 무료 업체 익산시/(재)익산문화관광재단 전화번호 063-843-8817 인스타 그램 seodongfest
    • 문화
    2023-08-15
  • [충남 부여]2023부여 문화재 야행[2023.09.15 ~ 2023.09.17]
    문화재의 이야기에 취하는 부여 문화재 야행이 관광객을 기다린다.   문화재 야행 사업은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주변의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연계 활용해 야간에 특화된 문화체험 프로그램으로 지역경제와 관광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문화재청에서 진행하는 공모사업으로 사비백제의 찬란한 역사를 지닌 부여의 문화재 활용 및 홍보를 위해 우리 지역 관·민이 공동 협력하여 대표 관관 콘텐츠로의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이번 2023 부여 문화재 야행『성왕 사비로와』는 백제의 아름다운 문화유산 정림사지를 중심으로 주변의 문화시설 콘텐츠를 활용한 야간 문화향유 프로그램이다.   [행사내용] 주제 : 8야(夜) 1. 야경(夜睘) 사비블루 (사비만의 소박한 빛) 1) 사비 안내 등불 2) 사비 새나라 꿈 3) 사비 밤달밤달 4) 주민참여 대형유등 5) 밤마실 휴식시간 2. 야로(夜路) 사비옛길 (사비로운 예술길) 1) 백제 예인 퍼포먼스 2) 스탬프 투어 3) 사비RPG 4) 사비 문화재 밤소풍 3. 야사(夜史) 사비사담 (사비백제 그 이야기) 1) 백제 체험 마을 2) 백제에서 놀자 3) 사비곳간 4) 사비일관부 5) 송정그림책마을 이야기 6) 사비백제 그림책일기 워크북 7) 해설사와 함께하는 사비백제 스토리투어 8) 사비역사 명사특강 9) 오층석탑 소원 탑돌이 10) 부여향교 선비체험 11) 최종병기 국궁체험 12) 사비도성 가상체험 13) 블록로 만드는 백제역사유적지구 14) 사비 한의원 15) 부여객사 전통체험 16) 사비랜선 온라인 通通톡톡 4. 야설(夜說) 사비풍류 (사비로운 예술공연) 1) 사비예술단 공연 2) 사비다움 버스킹 3) '부여비트' 시민뮤지컬 4) 부여군 청소년 오케스트라 5) 사비청년 플래시몹 6) 무형문화유산 공연 7) 백제기악 미마지 공연 8) 부여군 충남국악단 9)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풍물단 10) 사비로운 어린이 공연 5. 야식(夜食) 사비달밤 야시장 (사비 달빛과 미식) 1) 사비달밤 야시장 2) 굿뜨래 특산물 3) 무역왕국 백제 먹거리 6. 야시(夜市) 사비장시(시끌벅적 사비장터) 1) 사비 예술장터 2) 사비 프리마켓 3) DIY 사비체험 7. 야화(夜畫) 사비그림 (사비로운 예술작품) 1) 사비작가 2) 야광술사 3) 김영학 조각전시전 4) 유홍준 기증유물전 5) 국립부여박물관 6) 정림사지박물관 7) 백제 최고의 색, 자색전 8) 어린이 문화유산그림 전시 9) 미마지 탈만들기 10) 은산별신제 지화 만들기 11) 단청문양 그리기 8. 야숙(夜宿) 사비하루 (사비에서의 하룻밤) 1) 사비스테이 부여1박 2) 문화재에서의 하룻밤 3) 문화재 캠핑 날짜 2023.09.15 ~ 2023.09.17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 정림사지   가격 사비RPG - 5,000원 부여향교선비체험 - 5,000원 부여객사전통체험 - 3,000원~10,000원 사비달밤 야시장, 굿뜨래 특산물, 무역왕국백제먹거리 - 유료(가격미정) 문화재 캠핑 - 1人 10,000원 (나머지 무료) 업체 부여군, 문화재청, 충청남도/백제역사문화연구원 전화번호 041-837-1722 인스타 그램 buyeoyahaeng
    • 문화
    2023-08-15
  • [경남 진주]2023전국생활문화축제[2023.09.15 ~ 2023.09.17]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 지역문화진흥원, 진주문화관광재단이 공동주관하고, 진주시가 후원하는 전국생활문화축제가 2023년 9월 15일부터 9월 17일까지 경남 진주시 진주성에서 진행된다.   2023 전국생활문화축제 개최를 통해 전국의 생활문화인들의 축제의 장을 마련하고 생활문화 관심 및 가치 확산의 계기를 마련한다. 지역문화공동체 확장 및 생활문화 활성화를 통해 진주시 고유의 지속가능한 생활문화 기반을 구축 한다.‘문화로 잇는 일상의 행복‘이라는 주제와 '일상공감, ‘공감한DAY'(공감하는 날) 이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며, 생활문화란 우리에게 일상이고 쉽게 접할 수 있다라는 의미이다. 전국생활문화축제에서는 생활문화 동호회 및 동호인들의 체험, 공연, 전시 행사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된다.   [행사내용] 1. 축제행사 개·폐막식 운영 : 개막식 축하공연 및 폐막식 축제 이양식 운영, 10주년 기념 아키이브 영상, 차년도 개최지 홍보영상 등 체험공간 : 생활문화단체 및 동호인들의 생활문화 체험 부스 운영 전시공간 : 생활문화단체 및 동호인들의 생활문화 전시 부스 운영 공연공간 : 공연분야 생활문화 동호회 및 생활문화인의 공연 2. 연중 부대행사 생활문화 웹진 ‘일기에보’ 제작 발행 : 전국 생활문화 웹진 5회 제작 (PDF 형식, 회당 12p.) 전국 생활문화 발전 세미나 : 사전 간담회 운영 및 자유로운 토론 형식의 세미나 운영으로 생활문화 확산과 인식 변화 등을 이끌기 위한 의견 개진의 장 마련 3. 사전프로그램 축제 홍보채널 및 서포터즈 운영 : 전국 생활문화축제 홍보 콘텐츠 제작, 전국 서포터즈 모집 「인生·文컷」 리퀘스트 : 생활문화를 즐기는 ‘하모’ 또는 직접 창작한 생활문화축제 캐릭터 4컷 만화를 개인 SNS에 게시하는 온라인 행사 운영, 투표를 통해 50개의 작품을 선정 후 홈페이지 게시 및 현장 전시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특별한 생활문화 동호인 챌린지 「특·동·대 챌린지」 : 지역 특색을 담은 전국 생활문화 단체 및 동호인 SNS 챌린지 운영, 메타버스 플랫폼 및 축제장 전시·투표·시상 교류 전시·공연 「다. 다. 다.」 : 2023 전국생활문화축제展「너와 나의 생활문화 연결거리」, 전국 생활문화 교류 공연 및 메타버스 전시 「반주깨비」 생활문화 택배사업 : 반주깨비 체험 키트 제작 및 발송, SNS 이벤트 운영, 체험교실 진행 및 전시   2023.09.15 ~ 2023.09.17 위치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진주성   가격 무료 업체 문화체육관광부/지역문화진흥원, 진주문화관광재단 전화번호 010-4844-4119
    • 문화
    2023-08-15
  • [충남 예산]2023예산 문화재야행[2023.09.15 ~ 2023.09.16]
    2023 예산문화재야행이 오는 9월 15일부터 16일까지 예산군청 및 문화유산 일원에서 열린다. 이번 2023 예산문화재야행 <내포에 찾아온 개화의 물결 "모더니 그린 달빛">은 예산의 문화유산이 보내는 초대장을 받고 그들과 함께 달빛 속을 거닐며 체험하는 야간문화 향유콘텐츠를 운영한다.    내포 지역 개화기의 상징인 예산 원도심과 근대문화유산을 부각해 '근대화의 아이콘'인 예산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밤 문화 축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시민과 관람객에게 잊지 못할 따스한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행사내용] 대표 프로그램 1. 야경 - 빛으로 밤을 수놓다: 예산 문화재와 별빛거리에 야간경관 조성 및 포토존 설치 2. 야로 - 스토리텔링 미션투어, 시그널 매헌: 윤봉길 의사의 이야기를 테마로 진행되는 미션투어 - 밤마실 두형제: 참여형 거리 공연 3. 야사 - 달빛야사: 문화재 해설 프로그램 및 예산 대표 문화재 스탬프 투어- 달을 품은 인장 제작소: 세한도 탁본 체험 - 밤선비의 인생조언: 캘리그라피 체험 - 달밤 목수의 집: 우리나라 전통 건축 체험 - 내포에 드리운 모더니 불빛: 사과등&보부상 모자 만들기 체험 4. 야화 - 루사살롱, 거닐다!: 근대 의상 체험 5. 야설 - 별빛거리 보부상 놀이: 보부상 장마당 재현 놀이 - 근대한 콘서트: 근대 음악과 클래식 음악 콘서트 - 별빛다방, 그땐 그랬지!: 오픈 라디오 형식의 문화다방 6. 야식 - 별빛 걷는 야시장: 야행의 축제 분위기 속에서 간식거리를 제공하는 거리 7. 야시 - 낭만 음식 거리: 지역 소상공인 및 예술가가 참여하는 야간 플리마켓 날짜 2023.09.15 ~ 2023.09.16 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군청로 22 예산군청  일원 가격 무료 업체 예산군/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 전화번호 02-2038-8938 인스타 그램 yesannight
    • 문화
    2023-08-15

실시간 문화 기사

  • [경기 김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김포 장릉(인헌왕후)
      장릉은 사적 제202호로서 조선 16대 인조(1623-1649)의 생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다.    능의 규모와 규격은 조선 중기의 전형을 말해주고 있는 듯하고 능 아래는 제사를 지내는 재실이 있으며 조선 21대 영조와 22대 정조가 매년 행차하여 제사를 모시던 건물이기도 하다.   문의 및 안내 문화재청 장릉관리소 031-984-2897 홈페이지 문화재청 조선왕릉 http://royaltombs.cha.go.kr/ 주소 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 휴일 매주 월요일 주차 있음(일반 66대,장애인3대) 지정현황 [김포 장릉] 사적 제202호(1970.05.26 지정)   이용요금 [일반관람권 / 내국인 (만 25세 ~ 만 64세)]*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일반관람권 / 외국인]* 만 19세 ~ 만 64세 :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 만 7세 ~ 만 18세 : 개인 500원 / 10인 이상 단체 400원※ 지역주민 (신분증 등 증빙 제시시 ) 관람료 50% 할인※ 매월 마지막 수요일「문화가 있는 날」은 내·외국인 무료관람※ 무료관람대상자(관련 증빙 반드시 제시)- 만 6세 이하 어린이, 만 7세~24세 이하 청소년, 만 65세 이상 국민- 만 6세 이하 및 만 65세 이상 외국인- 국빈 및 그 수행자, 외교사절단 및 그 수행자 / 공무 수행을 위해 출입하는 자- 국ㆍ공립기관에서 정양 중에 있는 상이군경 / 군복을 입은 현역 군인 / 병무청 발급 병역명문가증 소지자 본인- 학생인솔 등 교육활동을 위해 입장하는 교원- 한복 착용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인 / 국가유공자 / 5.18 민주유공자 / 참전유공자 등 개별법령에 의해 입장료 감면된 자-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및 문화관광해설사 자격증을 패용하고 단체관람객 인솔을 위해 입장하는 자-「효행 장려 및 지원법」에 따른 효행우수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 계층-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 문화재위원 및 전문위원- 기타 문화재청장 또는 해당 유적관리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자[시간제 및 상시관람권]* 시간제 관람권 (1년 / 이용시간 12:00~13:00) 30,000원* 점심시간 관람권 (10회 / 이용시간 12:00~14:00)(입장시간 12:00~13:00) 3,000원* 상시관람권 (1개월 /관람시간 동안 자유롭게 이용가능) 10,000원
    • 문화
    2019-11-23
  • [충남 부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백제 문화의 보고, 부소산과 부소산성부여에 들어서면 시가지 북쪽에 검푸른 숲을 이룬 해발 106m 의 나지막한 부소산이 제일 먼저 눈에 들어 온다. 부여의 진산인 부소산에는 수많은 백제 여인들이 꽃잎처럼 떨어져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낙화암, 백화정, 사자루, 반월루, 궁녀사, 고란사, 부소산성(사적 제5호), 해맞이하는 영일루, 성충ㆍ흥수ㆍ계백의 백제 충신을 모신 삼충사, 곡식 창고터였던 군창지, 백제 군인의 움집 수혈병영지 발길 닿는 곳마다 발걸음을 붙잡는 토성들, 백제의 역사와 백제왕실의 이야기가 곳곳에 배어 있다.    금강의 남안에 있는 부소산의 산정을 중심으로 테뫼식 산성이 동서로 나뉘어 붙어 있고, 다시 그 주위에 북동쪽의 계곡을 둘러쌓은 포곡식(包谷式)산성을 동반한 복합식 산성으로, 성내에는 사자루, 영일루(迎日樓), 반월루(半月樓), 고란사(皐蘭寺),낙화암(落花巖),사방의 문지(門址), 군창지(軍倉址) 등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본기(百濟本紀)에는 사비성, 소부리성(所扶里城)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산성이 위치한 산의 이름을 따서 부소산성으로 불리고 있다. 이 산성은 백제의 수도인 사비 도성의 일환이며, 왕궁을 수호하기 위하여 538년(성왕 16)수도의 천도를 전후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나, 이 보다 먼저 500년(동성왕22)경 이미 산성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천도할 시기를 전후하여 개축되었고, 605년(무왕 6)경에 대대적인 개수축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일부의 성벽은 통일신라시기에 수축되고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고을의 규모에 맞도록 축소되어 이용된 것으로 여겨진다.[백제 문화를 만난다, 부소산의 유적지]* 삼충사부소산성 정문인 사비문을 지나 조금 걸어올라가면 삼충사가 있다. 외삼문과 내삼문을 지나 사당에 들어서면 백제말 삼충신인 성충, 흥수,계백의 영정과 위패가 모셔져 있다. 해마다 10월 백제문화제때 제향을 올리고 세분의 숭고한 구국충절을 기린다.* 영일루영일루는 부소산성의 맨 동쪽 산봉우리에 세워져 백제왕과 귀족들이 멀리 계룡산의 연천봉에서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며 국정을 계획하고,나라의 태평과 백성들의 평안을 기원했던 영일대에 세운 누각이다.* 군창지일명 만리창(萬里倉)이라 불렀던 이곳은 1915년 불에 탄 쌀이 발견된 군대 곡식을 보관했던 창고이다.* 수혈병영지군창지를 조금 지나면 움집이 보인다. 움집은 백제 때 군인들의 움막을 발굴,복원한 것으로 1m 가량 움을 파고, 사방을 나무나 짚으로 벽을 두른 뒤 초가지붕을 얹은 모습이다. 원래 움집터와 저장고를 발굴한 곳에 전시실을 지어 구조를 자세히 살필수 있게 하였다.* 사자루부소산 가장 높은 곳(해발 106m)에 위치한 사자루는 동쪽 영일루와 더불어 일월 음양을 뜻하며 달이 밝은 밤 누각에 오르면 아름다운 경치가 눈앞에 펼져지고 시흥이 절로 일어난다. 사자루 건립 당시 터를 파다가 광배 뒷면에 명문이 새겨진(정지원명) 금동석가여래입상(보물 제196호)이 발견되었다. 사자루 현판 글씨는 의친왕 이강의 친필이고,뒤쪽에 붙은 白馬長江은 서예가 해강 김규진의 작품이다.* 백화정낙화암 절벽위에 세워진 육각지붕의 정자가 백화정이다. 백마강을 시원하게 내려다 볼 수 있는 백화정은 백제멸망 당시 꽃잎처럼 떨어져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숭고한 백제 여인들의 원혼을 추모하기 위해 1929년에 부풍시사(扶風詩社)라는 시모임에서 세웠다.* 궁녀사반월루 광장에서 동북쪽 태자골로 조금 내려가면 궁녀사가 나온다. 이 궁녀사는 백제 의자왕 20년(660)에 나당 연합군에 의해 사비성이 함락되던 날,낙화암에서 꽃잎처럼 떨어져 죽은 백제 여인들의 충절을 추모하고 그 뜻을 후세에 널리 기리고자,1965년에 세웠다. 10월 백제문화제 때 제향을 올리고 있다.* 부여관북리백제유적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725번지에 위치한 이 유적은 현재 왕궁지로 알려져 있으며, 국립부여 문화재연구소 남쪽일대 184필지 95,048㎡(28,780평) 중 33필지 2,102㎡는 1983년 9월 충청남도 기념물 제43호 전백제왕궁지(傳百濟王宮址)로 지정되어 있다. 1982년부터 이 일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물관에서 5차에 걸쳐 발굴조사하여 1983년도에는 방형석축연지(方形石築蓮池)가 발견되었고, 1988년 발굴조사에서는 토기 구연부에 북사(北舍)라는 명문이 발견되었으며, 1992년 조사에서는 현재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의 남쪽 50m 지점에서 백제시대의 도로유적과 배수시설이 드러났다. 삼국시대의 궁궐 중 고구려의 안학궁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신라와 백제의 왕궁은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지만, 백제시대 마지막 도읍이었던 사비도성의 일부 유적이 밝혀진 것은 매우 중요한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문의 및 안내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041-830-2880 홈페이지 부여 문화관광 http://tour.buyeo.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15 주차 있음 지정현황 사적 제5호(1963.01.21 지정)   이용요금 개인 - 어른 2,000원 / 청소년 1,100원 / 어린이 1,000원단체(30인 이상) - 어른 1,800원 / 청소년 1,000원 / 어린이 900원※ 만 6세 이하, 65세 이상, 장애인, 부여군민 무료※ 낙화암, 고란사 포함
    • 문화
    2019-11-23
  • [서울 노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서울 태릉(문정왕후)과 강릉(인순왕후)
    사적 제 201호로 지정된 태릉강릉에는 조선왕조 제11대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 윤씨를 모신 태릉과 13대 명종과 왕비 인순왕후 심씨를 모신 강릉이 있다.    명종은 형 인종의 유언에 따라 12세의 나이로 경복궁 근정전에서 즉위하였으며(1545년),그의 모후인 문정왕후는 8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   (최근 TV 드라마에서 유명해진 왕후이기도 하다)주변에는 태릉 푸른동산, 육군사관학교 등 둘러볼 만한 곳이 많이 있다.[공개제한지역 예외관람 안내]* 태릉 능침 공간- 관람시기 : 3~6월, 9~11월 / 매주 토, 일요일 10:00, 14:00- 관람조건 : 해설사 및 관람위원이 동행   문의 및 안내 태릉관리소 02-972-0370 홈페이지 문화재청 태.강릉 http://royaltombs.cha.go.kr/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681 휴일 매주 월요일 주차 서울 태릉과 강릉(일반 28개,장애인 3개)서울 영휘원과 숭인원(일반21개,장애인2개) 서울 연산군묘(주차장 없음) 지정현황 사적 제201호(1970.05.26 지정)   이용요금 [일반관람권 / 내국인 (만 25세 ~ 만 64세)]*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일반관람권 / 외국인]* 만 19세 ~ 만 64세 :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 만 7세 ~ 만 18세 : 개인 500원 / 10인 이상 단체 400원※ 지역주민 (신분증 등 증빙 제시시 ) 관람료 50% 할인※ 매월 마지막 수요일「문화가 있는 날」은 내·외국인 무료관람※ 무료관람대상자(관련 증빙 반드시 제시)- 만 6세 이하 어린이, 만 7세~24세 이하 청소년, 만 65세 이상 국민- 만 6세 이하 및 만 65세 이상 외국인- 국빈 및 그 수행자, 외교사절단 및 그 수행자 / 공무 수행을 위해 출입하는 자- 국ㆍ공립기관에서 정양 중에 있는 상이군경 / 군복을 입은 현역 군인 / 병무청 발급 병역명문가증 소지자 본인- 학생인솔 등 교육활동을 위해 입장하는 교원- 한복 착용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인 / 국가유공자 / 5.18 민주유공자 / 참전유공자 등 개별법령에 의해 입장료 감면된 자-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및 문화관광해설사 자격증을 패용하고 단체관람객 인솔을 위해 입장하는 자-「효행 장려 및 지원법」에 따른 효행우수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 계층-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 문화재위원 및 전문위원- 기타 문화재청장 또는 해당 유적관리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자[시간제 및 상시관람권]* 시간제 관람권 (1년 / 이용시간 12:00~13:00) 30,000원* 점심시간 관람권 (10회 / 이용시간 12:00~14:00)(입장시간 12:00~13:00) 3,000원* 상시관람권 (1개월 /관람시간 동안 자유롭게 이용가능) 10,000원
    • 문화
    2019-11-23
  • [전남 해남]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대흥사
    대흥사는 백제 성왕 22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서산대사 유언과 의발이 전해진 삼재불입지처로 불교문화의 중흥을 이룬 곳이다.    나라의 국제를 지낸 표충사와 한국 차의 산실 일지암 등에서는 초의선사와 추사 김정희 등 당대 명사들의 글과 발자취를 만날 수 있다.    경내에는 대웅보전, 침계루, 명부전, 응진당, 천불전, 천불상, 표충사, 대광명전, 일지암, 북미륵암, 성보박물관 등이 있다.   대흥사에는 국보 제308호인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을 비롯 선사대사 유물관에는 보물88호인 탑산사 동종등 많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고, 국내최대 부도전에는 서산대사 부도 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설화 등을 만날수 있다.   문의 및 안내 대흥사 종무소 061-534-5502템플스테이 사무국 061-535-5775 홈페이지 두륜산 대흥사 http://www.daeheungsa.co.kr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휴일 연중무휴 주차 있음
    • 문화
    2019-11-23
  • [경북 안동]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면으로 볼 때 크게 도산서당과 이를 아우르는 도산서원으로 구분된다. 도산서당은 퇴계선생이 몸소 거처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고, 도산서원은 퇴계선생 사후 건립되어 추증된 사당과 서원이다.    도산서당은 1561년(명종 16)에 설립되었다. 퇴계선생이 낙향 후 학문연구와 후진 양성을 위해 지었으며 서원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퇴계선생이 직접 설계하였다고 전해진다.    이때 유생들의 기숙사 역할을 한 농운정사와 부전교당속시설인 하고직사(下庫直舍)도 함께 지어졌다.    도산서원은 퇴계선생 사후 6년 뒤인 1576년에 완공되었다.    1570년 퇴계 선생이 돌아가시자 1572년에 선생의 위패를 상덕사(보물 제211호)에 모실 것을 결정하였다.    2년 뒤 지방 유림의 공의로 사당을 지어 위패를 봉안하였고, 전교당(보물 제210호)과 동 · 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다.    1575년(선조 8)에 한석봉이 쓴 “도산서원”의 편액을 하사 받음으로써 사액(賜額)서원으로서 영남유학의 총본산이 되었다.    1615년(광해군 7) 사림이 조목(趙穆)을 종향(從享)했다.    1792년(정조 16) 정조 임금이 치제(致祭)를 내리고 도산별과(陶山別科)를 시행하였다.    1796년(정조 20) 시사단 (試士壇)을 세우고, 1819년(순조 19) 장서고(藏書庫)인 동광명실(東光明室) 건립하였다.    1870년(고종 7)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서 제외되었으며, 1930년(경오년) 서광명실(西光明室) 증건(增建)하였고 1932년(임신년) 하고직사(下庫直舍) 이건하였다.    1969년 본 서원을 중심으로 임야 및 전답 19필 324.945㎡이 사적 170호로 지정되었고, 1970년부터 대통령령으로 보수 · 증축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우리나라 유학사상의 정신적 고향으로 성역화 되었다.    1977년 도산서원관리사무소가 설치되고 관리운영조례를 제정 공포한 이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문의 및 안내 도산서원 054-840-6599 홈페이지 도산서원 http://www.dosanseowon.com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휴일 연중무휴 주차 있음   지정현황  [도산서원] 사적 제170호(1969.05.28 지정)[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보물 제211호(1963.01.21 지정)[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보물 제210호(1963.01.21 지정)
    • 문화
    2019-11-23
  • [대구 달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도동서원
    도동서원은 조선 5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된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을 향사한 서원으로 1568년(원조원년) 지방유림에서 현풍 비슬산 동쪽 기슭에 세워 쌍계서원(雙溪書院)이라 불렀는데 창건 5년 뒤인 1573년(선조6)에 같은 이름으로 사액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그 후 1604년(선조37)에 지방의 사림들이 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중건하여 보로동 서원(甫老洞書院)이라 불렀다.    이황은 김굉필을 두고 ‘동방도학지종(東方道學之宗)’이라고 칭송했다.    1607년(선조40) 도동서원(道東書院)이라 사액하였으며, 마을 이름도 도동리라 고쳐 불렀다.    도동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전국 서원 중 철폐 되지 않은 전국 47개 중요서원의 하나로 사림과 후손들의 두터운 보호 하에 지금에 이르고 있다.   문의 및 안내 대구 달성군 관광과 053-668-3162 홈페이지 달성군 관광 http://www.dalseong.daegu.kr/new/culture, 문화재청 http://www.cha.go.kr, 달성 도동서원 http://dodongseowon.alltheway.kr/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26 지정현황 [달성 도동서원] 사적 제488호(2007.10.10 지정)
    • 문화
    2019-11-23
  • [서울 성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서울 정릉(신덕왕후)
    정릉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후비 신덕왕후 강씨의 묘소이다.    태조는 고려의 풍습대로 향리와 서울에 각각 부인을 두고 있었는데, 강씨는 바로 서울에 있는 부인이었다.    고향에 둔 부인 한씨(韓氏)는 태조 등극 전에 죽었고, 등극과 더불어 왕후의 자리에 앉은 것은 현비(顯妃) 강씨로서 방번(芳蕃).방석(芳碩) 두 형제를 낳았다.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 의해 현비(강씨) 소생의 두 왕자가 죽자 태조는 정사에 뜻을 잃고 태상당으로 있으면서 자주 정릉에 가서 불공에 정성을 기울였다.    그 후 능역의 광대함이 의정부에서 논란이 되었고, 태조가 죽은 뒤로는 정릉에 대한 박대가 노골화하였다가, 태종의 뜻대로 도성 밖 현재의 자리로 이장하였다.   문의 및 안내 정릉관리소 02-914-5133 홈페이지 문화재청 조선왕릉 http://royaltombs.cha.go.kr/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19길 116 휴일 매주 월요일 주차 없음 지정현황 [서울 정릉] 사적 제208호(1970.05.26 지정)   이용요금 [일반관람권 / 내국인 (만 25세 ~ 만 64세)]*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일반관람권 / 외국인]* 만 19세 ~ 만 64세 :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 만 7세 ~ 만 18세 : 개인 500원 / 10인 이상 단체 400원※ 지역주민 (신분증 등 증빙 제시시 ) 관람료 50% 할인※ 매월 마지막 수요일「문화가 있는 날」은 내·외국인 무료관람※ 무료관람대상자(관련 증빙 반드시 제시)- 만 6세 이하 어린이, 만 7세~24세 이하 청소년, 만 65세 이상 국민- 만 6세 이하 및 만 65세 이상 외국인- 국빈 및 그 수행자, 외교사절단 및 그 수행자 / 공무 수행을 위해 출입하는 자- 국ㆍ공립기관에서 정양 중에 있는 상이군경 / 군복을 입은 현역 군인 / 병무청 발급 병역명문가증 소지자 본인- 학생인솔 등 교육활동을 위해 입장하는 교원- 한복 착용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인 / 국가유공자 / 5.18 민주유공자 / 참전유공자 등 개별법령에 의해 입장료 감면된 자-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및 문화관광해설사 자격증을 패용하고 단체관람객 인솔을 위해 입장하는 자-「효행 장려 및 지원법」에 따른 효행우수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 계층-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 문화재위원 및 전문위원- 기타 문화재청장 또는 해당 유적관리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자[시간제 및 상시관람권]* 시간제 관람권 (1년 / 이용시간 12:00~13:00) 30,000원* 점심시간 관람권 (10회 / 이용시간 12:00~14:00)(입장시간 12:00~13:00) 3,000원* 상시관람권 (1개월 /관람시간 동안 자유롭게 이용가능) 10,000원
    • 문화
    2019-11-23
  • [충남 부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부여 나성
    백제 수도 방어의 군사적 요충지, 부여 나성 백제의 수도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둘레 8.4㎞의 성이다.    부소산성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부여시가지 외곽을 둘러싸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평양에 있는 나성과 함께 가장 오래된 나성 중의 하나이며, 웅진 (지금의 공주)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수도를 옮긴 538년경에 쌓은 것으로 보인다.   성벽은 부소산성의 동문이 있던 자리에서 시작하여 금강변까지 흙으로 쌓아만든 것으로, 지금은 약간의 흔적만 남아있다.    현재는 청산성 동쪽에 20m 정도와, 석목리에서 동문 다리까지, 그리고 필서봉에서 염창리까지 희미하게 그 형적이 남아 있다.    성의 바깥쪽 벽은 급한 경사를 이루고 안쪽 벽은 완만하여, 성 위에서 말을 달릴 만한 길이 있고 곳곳에 초소가 있다.    가장 높은 산봉우리인 필서봉에는 횃불을 올리던 봉수터와 건물터가 남아있다.    성 안에는 백제의 왕궁을 비롯하여 관청·민가·절·상가 및 방어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나성의 전체적인 구조는 남쪽과 서쪽으로 금강이 흐르고, 또 물길도 파놓아서 자연적인 2중 구조를 이루고 있다.부여나성의 의의 백제나성은 백제 수도를 지키기 위한 외곽성이었으므로 백제 성왕(聖王:523∼554) 때를 전후하여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부여나성은 청산성·청마산성과 함께 수도보호를 위한 외곽방어시설로 중요한 성이었다.[문화재 현황]* 사적 제 58호(1963년 1월 21일* 면적 - 554,591㎡   문의 및 안내 부여군 문화재과 041-830-2623 홈페이지 부여 문화관광 http://tour.buyeo.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문로142번길 100-11 지정현황 사적 제58호(1963년 1월 21일 지정)
    • 문화
    2019-11-23
  • [서울 성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서울 의릉(경종,선의왕후)
    조선 20대 경종(재위 1720∼1724)과 그의 비인 선의왕후의 무덤이다.    경종은 희빈장씨의 소생으로 어렸을 때부터 몸이 약하여 왕위에 오른지 4년만에 세상을 떠났다.    일반적으로 쌍릉은 좌·우로 조성하지만 이 무덤은 앞·뒤로 무덤을 조성한 상하이봉릉(上下異封陵)이다. 이처럼 앞·뒤로 만든 것은 풍수지리설에 의한 것으로 효종과 인선왕후의 무덤인 영릉에서 처음 나타났다.    왕릉에는 무덤 둘레에 병 풍석을 세우지 않고 대신 무덤 주위에 12칸의 난간석을 설치했는데, 난간석의 기둥에는 십이간지가 방위에 따라 문자로 새겨져 있다.    난간석 밖으로 망주석·장명등·문무석과 말·양·호랑이가 있다. 무덤의 석물 배치와 양식은 명릉과 같이 규모가 작고 간소한 후릉제도를 택하였다. 왕비릉의 석물 배치는 왕릉과 같으나 무덤 뒤에 담을 두르지 않았다. 문의 및 안내 의릉관리소 02-964-0579 홈페이지 문화재청 조선왕릉 http://royaltombs.cha.go.kr/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32길 146-20 휴일 매주 월요일 주차 있음(약 소형 80대) - 의릉 정문 전방에 위치 지정현황 사적 제204호(1970년 5월 26일 지정)   이용요금  [일반관람권 / 내국인 (만 25세 ~ 만 64세)] *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일반관람권 / 외국인]* 만 19세 ~ 만 64세 :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 만 7세 ~ 만 18세 : 개인 500원 / 10인 이상 단체 400원※ 지역주민 (신분증 등 증빙 제시시 ) 관람료 50% 할인※ 매월 마지막 수요일「문화가 있는 날」은 내·외국인 무료관람※ 무료관람대상자(관련 증빙 반드시 제시)- 만 6세 이하 어린이, 만 7세~24세 이하 청소년, 만 65세 이상 국민- 만 6세 이하 및 만 65세 이상 외국인- 국빈 및 그 수행자, 외교사절단 및 그 수행자 / 공무 수행을 위해 출입하는 자- 국ㆍ공립기관에서 정양 중에 있는 상이군경 / 군복을 입은 현역 군인 / 병무청 발급 병역명문가증 소지자 본인- 학생인솔 등 교육활동을 위해 입장하는 교원- 한복 착용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인 / 국가유공자 / 5.18 민주유공자 / 참전유공자 등 개별법령에 의해 입장료 감면된 자-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및 문화관광해설사 자격증을 패용하고 단체관람객 인솔을 위해 입장하는 자-「효행 장려 및 지원법」에 따른 효행우수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 계층-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 문화재위원 및 전문위원- 기타 문화재청장 또는 해당 유적관리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자[시간제 및 상시관람권]* 시간제 관람권 (1년 / 이용시간 12:00~13:00) 30,000원* 점심시간 관람권 (10회 / 이용시간 12:00~14:00)(입장시간 12:00~13:00) 3,000원* 상시관람권 (1개월 /관람시간 동안 자유롭게 이용가능) 10,000원
    • 문화
    2019-11-23
  • [전북 정읍]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무성서원
    고려시대 지방 유림의 공의로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생사당(生祠堂:생존해 있는 사람을 모시는 사당)을 창건하여 태산사(泰山祠)라 하였다.    고려 말에 쇠약해졌다가 1483년(성종 14) 정극인(丁克仁)이 세운 향학당(鄕學堂)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되었다.    그 뒤 1549년(명종 4) 신잠(申潛)의 생사당을 짓고 태산사에 배향하였으며, 1630년(인조 8) 정극인·안세림(安世琳)·정언충(鄭彦忠)·김약묵(金若默), 1675년(숙종 1) 김관(金灌)을 추가 배향하였다.    1696년(숙종 22) 최치원과 신잠의 두 사당을 병합한 뒤 ‘무성(武城)’이라고 사액(賜額)되어 서원으로 개편되었으며,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이 서원은 1868년(고종 5)경 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훼철(毁撤:헐어 부수어서 걷어 버림)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그 뒤 계속적인 중수와 보수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사우(祠宇)·현가루(絃歌樓)·명륜당(明倫堂)·장수재(莊修齋)·흥학재(興學齋)·고사(庫舍) 등이 있다.   문의 및 안내 정읍시 문화체육과 063-539-5184 홈페이지 정읍 문화관광 http://culture.jeongeup.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 지정현황 [정읍 무성서원] 사적 제166호(1968.12.19 지정)
    • 문화
    2019-11-23
  • [전남 장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필암서원
    필암서원(사적지 제242호)은 1590년 하서 김인후(1510-1560)의 후학과 호남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건립되었으며, 1786년 하서의 사위이자 문인인 고암 양자징(1523-1594)을 추배하였다.    특히 필암서원은 1659년 필암으로 사액을 받았으며, 하서 김인후 선생은 호남에서 유일하게 문묘에 배향된 점에서도 이 지역의 선비 문화를 대표하는 서원이다.    그리 높지 않은 유민산이 뒤를 감싸고 있는 가운데 평지에 자리 잡은 필암서원은 선현에 대한 제사 공간과 교육 및 학문 수련의 공간, 휴식공간 그밖에 장서 보관 기타시설 등 조선시대 서원의 기본구조를 잘 갖추고 있다.    특히 확연루의 현판 글씨는 우암 송시열이 직접 쓴 글이다.    필암서원은 옛 규모를 잘 간직하고 있을 뿐 아니라 보물 제587호로 지정된 고문서(노비보, 원장선생안, 집강안, 원적, 봉심록, 서원성책 등)와 인종이 하서 선생에게 하사했다는 묵죽도, 하서유묵 등 60여건의 자료가 여전히 남아있다.    1868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전국 서원 중 47개소만 남게 되었는데 그 중 미훼철 서원이며, 일제강점기나 6.25사변 때에도 피해를 면한 서원이다.   문의 및 안내 장성군 문화관광과 061-390-7226 홈페이지 장성 문화관광 http://tour.jangseong.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주소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서원로 184 주차 있 음 지정현황 [장성 필암서원] 사적 제242호(1975.04.23 지정),[장성필암서원하서선생문집목판]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15호(1999.07.05 지정),[필암서원하서유목목판일괄]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16호(1999.07.05 지정)
    • 문화
    2019-11-23
  • [경남 함양][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남계서원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1552년(명종7)에 지었다.    1566년(명종 21)에 나라에서 ‘남계(灆溪)’라는 사액을 내려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1603년(선조 36)에 나촌으로 옮겨지었다가,1612년(광해군 4) 옛 터인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숙종 때 강익(姜翼)과 정온(鄭蘊)을 더하여 모셨다.    따로 사당을 짓고 유호인(兪好仁)과 정홍서(鄭弘緖)를 모셨다.    별사는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정여창을 모신 서원은 전국적으로 9곳에 이르며, 그 중 주된 곳이 남계서원이다.    소수서원에 이어 두 번째로 세워진 남계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존속한 47개 서원중의 하나이다. 2009년에는 사적 제499호로 지정되었다.   문의 및 안내 함양군 문화관광과 055-960-4537 홈페이지 함양 문화관광 http://www.hygn.go.kr/tour.web,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남계서원길 8-11 지정현황 [함양 남계서원] 사적 제499호(2009.05.26 지정)
    • 문화
    2019-11-23
  • [충남 논산][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돈암서원
    김장생을 제향한 서원, 돈암서원돈암서원은 조선 인조 12년(1634) 이곳에서 1.5km 떨어진 숲말에 세워졌었다. 현종 원년(1660)에 사액서원이 되었으나 지대가 낮아 홍수 때에는 물이 뜰까지 넘쳐들어 오므로, 고종 17년(1880) 현재의 자리인 임리 74번지(서원말)로 옮겨지었다.    고종 3년(1865) 서원철폐령에서도 제외된 서원이었다. 소슬 3문으로 꾸며진 입덕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양성당 좌측에 응도당 그리고 사우는 양성당 후면에 있고, 장판각, 정회당, 산앙루가 있다.    유림들이 매년 음력 2월과 8월 중정에 제사를 올리고 있다.    사우의 전면은 1칸통을 개방하여 전퇴를 두었고,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전퇴는 전돌 바닥이다.    전면 기둥사이에는 사분합 띠살문을 달고 옆면과 뒷면은 회벽이다.    공포의 구성은 이익공외출목과 동일한 수법으로 짜여져 있다.    내부의 양봉은 전통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고, 창방 위에 설치된 화반형의 초각반은 기둥 사이마다 1개씩이다. 지붕가구는 퇴고주를 세워 퇴량과 대들보를 걸었는데 용재는 새우처럼 휘어진 것을 썼다.    대들보 위에 일종의 포대공을 얹어서 퇴고주와 함께 종량을 받쳤으며 다시 종량위에 파연대공을 두고 종도리를 받쳤다.    사우에는 김장생을 주향으로 하여 김집 송준길 송시열선생 등 문묘에 배향된 네 분만을 모시고 있는 보기드문 선정 서원이다.  돈암서원비문에 의하면 방, 대청, 툇마루, 행랑을 갖춘 응도당이 있었고, 응도당의 왼쪽에 거경제 오른쪽에 정의재가 있었으나 현재로서는 그 건물이 어느 것인지를 분간하기도 어렵고 원형대로 보존되어 오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돈암서원의 의의와 평가광산김씨는 연산 지역에서 세거하면서 많은 인재를 배출한 호서 명문 사족가문이다.    이런 이유로 돈암서원은 서인-노론계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1871년 서원 훼철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보존되어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으며, 특히 김장생이 타계한 후 제자와 문인들이 만든 돈암서원책판(遯巖書院冊版)이 등 여러 자료가 남아 있다.   이렇듯 돈암서원은 호서 지역은 물론 기호 지역 전체에서 존숭받는 서원으로, 김장생을 제향한 서원 중에서 가장 비중 있고 영향력 있는 서원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까지 잘 보호, 관리되고 있으며 지역사를 연구하는 향토 자료로서도 보존적 가치가 높다.    나아가 호서 지역 사림의 동향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며, 당시 실질적인 세력권자인 김장생의 영향력을 알 수 있다.* 소유 - 광산김씨 종중   문의 및 안내 서원관리사무소 041-736-0096, 논산시 문화예술과 041-746-5412 홈페이지 논산 돈암서원 http://www.donamseowon.co.kr, 논산시 문화관광 http://www.nonsan.go.kr/tour/문화재청 http://www.cha.go.kr 주소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3길 26-14 휴일 1월1일, 설 및 추석 당일 주차 있음 지정현황 [논산 돈암서원] 사적 제383호(1993.10.18 지정) 이용요금 무료
    • 문화
    2019-11-23
비밀번호 :
google.com, pub-4600274970377611, DIRECT, f08c47fec0942fa0